최근 국제유가가 급등하면서 휘발유 가격이 IMF 이후 최대 상승폭을 달성했다고 합니다. 기름값이 너무 비싸 기름 한번 넣기 무서울 정도네요. 혹시 저처럼 운전 중 지나치는 주유소의 가격을 보면서, 혹시 더 싼 곳이 있는지 살펴보지 않으시나요?
이번 포스팅은 고유가 시대 기름값을 아끼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모아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조금만 습관을 바꿔도 기름값을 아끼는데 많이 도움이 된다고 하니, 꼭 기억해서 기름값 조금이라도 절약해보는 건 어떨까요?

1. 한낮보단 아침이나 저녁에 주유하기
기름은 상온에서 액체이므로 기온에 따라서 부피가 달라집니다. 기름은 저온보다 고온에서 부피가 더 커지므로, 기온이 낮을 때 주유를 하면 같은 금액으로 더 많은 양의 기름을 넣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기온이 높은 한낮보다 기온이 낮은 아침이나 저녁에 주유를 하는 것이 기름값 절약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기온이 높은 낮에 주유하게 되면 기름이 쉽게 기화되어 주유량에 차이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2. 오피넷으로 싼 주유소 확인하기
한국석유공사에서 제공하는 '오피넷 (https://www.opinet.co.kr/)' 사이트에 방문하면 전국 주유소의 주유비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오피넷 홈페이지 및 어플에서 '내 주변 주유소 확인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반경 3km 이내에 있는 최저가 주유소 정보를 알아낼 수 있고, 운전 전 미리 가장 싼 주유소를 알아볼 수도 있습니다.
싼 주유소 찾기 오피넷
www.opinet.co.kr
4. 기름은 70~80%만 채우기
연료탱크에 기름이 가득 차면 그만큼의 무거운 짐을 싣는 것과 같기 때문에, 차량의 무게 증가로 연비가 나빠져 기름의 소모량도 늘어나게 됩니다. 기름값을 아끼고 싶다면 최대 80% 정도만 주유하실 것을 기억해주세요~ 추가로 트렁크에 불필요한 짐들은 빼 차량 무게를 줄이는 것도 기름 절약에 도움이 됩니다.
3. 주유 시 시동 끄기
주유 중 시동을 켜놓으면 연료가 주입되는 동시에 계속 소모가 됩니다. 소모되는 연료양이 많지는 않지만, 주유할 때 시동을 끄는 습관을 들인다면 주유비 절약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주유 중 시동을 끄는 것은 화재 발생 가능성을 낮춰주므로 안전을 위해서라도 꼭 시동을 꺼두셔야 합니다.
4. 주유가 끝난 후 주유 호스를 들어 올리기
주유가 끝나고 호스를 레버보다 높게 들어 올리면, 호스 안에 고여있던 기름들을 더 주유할 수 있습니다. 한 번에 많은 양을 아낄 수 있는 건 아니지만 매번 주유할 때마다 습관적으로 반복한다면 주유비 절약에 도움이 되는 꿀팁입니다.
5. 주유 속도는 가급적 천천히
7. 주유 경고등이 뜨기 전에 주유하기
운전을 하다 보면 제때에 주유를 하지 못할 때가 많습니다. 주유 경고등에 불이 깜빡깜빡거려야 비로소 주유소를 찾게 되는 일도 빈번한데요. 이처럼 주유 경고등이 떠 있을 때 기름을 넣게 되면 연료가 탱크 바닥에 부딪혀 산화되기 때문에 주유되는 연료의 일부분이 증발하게 된다고 합니다. 주유한 만큼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가급적 주유 경고등이 뜨기 전에 미리 주유소를 방문하는 습관을 길러보세요.

추가 팁] 주유소에 휘발유 수송트럭이 있다면? 다음 기회에
마지막으로 주유소에 갔는데 휘발유 수송트럭이 보인다면 다음에 주유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름이 공급된 직후에는 침전물이 올라오기 때문에 이때 주유를 하면 불순물이 함께 주입될 수도 있습니다.
운전 습관 바꾸고 기름값 절약하는 팁
[기름값 절약 팁] 운전 습관을 바꿔 기름값 절약해보세요
휘발유 가격이 연일 오르면서 가격이 부담스러워 기름을 넣기가 망설여집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운전 습관을 조금만 바꿔 기름값을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 드리려고 합니다. 이미 실천하
life-saving-vessels.tistory.com
'경제적 자유 > 직장인 절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기초생활수급자 대상자 확대 수급조건 정리 (0) | 2024.08.15 |
---|---|
[기름값 절약 팁] 운전 습관을 바꿔 기름값 절약해보세요 (0) | 2022.03.18 |
청년도약계좌 윤석열 공약 :: 가입조건, 지원금, 10년 1억 만들기 (0) | 2022.03.18 |
연말정산 환급받았다면 잘한게 아니라 오히려 손해 입니다 (0) | 2022.03.18 |
문화비(도서/공연/박물관/미술관/신문) 소득공제 혜택 놓치지 않기 (0) | 2022.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