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직장인 이야기

재해자 구조 및 응급처치 1. 응급처치란? 급성질환자나 다친 사람에게 사고 현장에서 즉시 조치를 취하는 것 위급한 상황에서 자신을 지키고, 전문적인 치료를 받을 때까지 적절한 처치 하여 2. 응급처치의 방법 우선 사고 현장에서 정확한 현장조사 후 주변 환경의 위험 여부를 파악 환자를 안전한 곳으로 옮기거나 환자 주변의 위험물들을 제거한 뒤 구조 3. 응급처치의 목적 1) 응급환자의 생명을 구함 2) 통증과 불편감 감소 및 악화 방지 3) 합병증을 예방하고 부가적인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함 4) 한 인간으로서 가치 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회복을 도움 4. 응급처치의 원칙 1) 현장조사 • 환자와 자신의 주변 위험요소 파악 • 재해발생 상황 및 피해자 수 • 주변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 • 구출 시 장비의 필요성 등 확인.. 더보기
업무상 재해 인정 기준과 이해 [업무상 재해의 이해] 1. 업무상 재해란? 업무상의 사유에 따른 근로자의 부상·질병·장해 또는 사망 2. 업무의 인정 범위 근로자의 본래의 업무 행위 또는 그 업무의 준비 행위 또는 정리 행위, 사회통념상 그에 수반되는 것으로 인정되는 생리적 행위 또는 합리적/필요적 행위 사업주의 지시나 주최에 의해 이루어지는 행사 또는 취업규칙, 단체협약 그 밖의 관행에 의해 개최되는 행사에 참가하는 행위 3. 업무상 재해의 인정기준 1) 근로자가 아래에 해당하는 업무상 사고 또는 업무상 질병으로 재해가 발생할 것 a) 업무상 사고 근로자가 근로계약에 따른 업무나 그에 따르는 행위를 하던 중 발생한 사고 사업주가 제공한 시설물 등을 이용하던 중 그 시설물 등의 결함이나 관리 소홀로 발생한 사고 사업주가 주관하거나 사.. 더보기
산업안전보건법의 정의와 각 주체별 의무 1. 산업안전보건법의 정의 산업안전보건법은 사업장에서 사업장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하여 근로자의 생명과 신체 안전을 도모하고 질병을 방지하며, 건강을 유지·증진시키기 위한 근로자 보호 제도이다. 2. 산업안전보건법의 목적 산업안전보건법은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기준을 확립하고 그 책임의 소재를 명확하게 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유지·증진함을 목적으로 한다.(법 제1조) ① 산업 안전 보건에 관한 기준 확립 및 책임 소재 명확화. ② 산업 재해 예방 및 쾌적한 작업 환경 조성. ③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 유지·증진(인간 존중) 3. 산업안전보건법 특징 (1) 복잡다양성 사업장 기계설비의 다양화, 유해물질 사용량의 급증, 작업 공정 및 기계.. 더보기
VDT 증후군 예방 및 관리 (거북목 증후군) 1. VDT 증후군의 이해 1) VDT 증후군의 정의 - VDT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의 약자 - 각종 영상표시단말기를 취급하는 작업 또는 활동으로 인하여 어깨, 목, 허리 부위에서 발생되는 근막통증증후군, 경견완증후군, 기타 근골격계증상, 눈의 피로, 피부증상, 정신신경계 증상 - 건강장해는 크게 근골격계질환과 시각장해로 구분 - 근골격계질환 : 경견완증후군, 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 반복성 긴장장애, 누적외상성 질환, 반복동작장애, 과사용증후군 - 시각장해 : 안구건조증, 근시 굴절이상 2) VDT 증후군의 발생원인 - 사업장 요인 : 작업장 설계, 의자, 모니터, 키보드, 책상 - 근로자 요인 : 나이, 신체조건, 작업습관, 과거병력 - 작업환경 요인 : 진동,.. 더보기
뇌심혈관질환 예방과 관리 1. 뇌심혈관질환의 이해 1-1 뇌심혈관질환 정의 - 인체의 가장 중요한 장기에 분포되어 있는 혈관에 발생하는 질병 - 허혈성 심장질환(심근경색증, 협심증) 등의 심장질환과 뇌졸중(뇌내출혈, 뇌경색) 등의 뇌혈관질환, 그리고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등의 선행질환을 총칭하여 부르는 말 1-2 뇌심혈관질환의 특성 - 지병이 있는 것을 모르다가 갑자기 발병해 사망 또는 심각한 신체장해 발생 - 고혈압, 당뇨병 등 대수롭지 않게 여기다가 합병증 발생 - 유전적인 소인, 나쁜 생활습관과 환경적 요인 등 여러가지 요인이 함께 작용해 발병 1-3 뇌심혈관질환의 구분 1) 업무적 요인 - 화학적 요인 : 이황화탄소, 염화탄화수소류, 일산화탄소, 메틸렌클로라이드, 니트로글리세린 - 물리적 .. 더보기
유해, 위험화학물질의 정의 및 관리 방법 1. 위험화학물질 1-1. 위험화학물질의 정의 화재 또는 폭발을 일으킬 위험성이 있는 물질 인간의 안전을 위협할 우려가 있는 물질 인화성 또는 발화성 등을 가지는 것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물질 1-2. 위험물의 종류 폭발성 물질, 발화성 물질, 산화성 물질, 인화성 물질, 가연성 물질, 부식성 물질 1-3. 위험 화학물질의 종류에 따른 분류 1) 폭발성 물질 가열, 마찰, 충격 또는 다른 화학물질과의 접촉으로 산소나 산화제의 공급이 없는 상태에서도 충격 등으로 폭발할 수 있는 위험물 예) 질산에스테르류, 니트로화합물, 니트로소화합물, 아조화합물, 하이드라진 유도체 등 2) 발화성 물질 대기 중에서 물질 스스로 발화가 용이하거나, 물과 접촉하면 발화하며 가연성 가스를 발생하는 물질 예) 칼륨, 나트륨, .. 더보기
선박 방식설계 (방오도료, Anode, ICCP) 조선 설계 중에 방식 설계를 담당하는 부서가 따로 있다.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선체의 부식을 방지하는 것을 주로 담당하게 되며, 선박 방식 설계 중 선체 외판의 방식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자 1. 방오 (Anti-fouling) / 방식 (Anti-corrosive) 도료 시공 선박이 오랫동안 바닷물에 잠겨져 있으면, 당연히 선체의 철판이 전위차가 발생하여 전기적 부식이 생기게 된다. 또한 해초, 따개비 등이 선체 표면에 달라붙는 문제가 발생하여, 선박 운항 시 저항이 발생하여 속도 저하와 연료 소모량 증가로 이어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방오도료 (Anti Fouling Paint)를 바르게 된다. 최근 선박의 방오도료는 선박 표면에 달라붙는 따개비나 해조류 제거 목적 뿐만 아니라,.. 더보기
선박 용선 계약 (Charter Party) 선박 건조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해운사에서는 선주로부터 선박을 임대하여 운영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선주와 용선자와의 맺어지는 계약 관계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용선계약이란 선박소유자가 선박의 전부나 일부를 제공하고, 그 대가로 용선자가 선주로부터 선박을 빌려 용선료를 지급기로 하는 해상 운송 계약 2. 용선계약 종류 (1) 항해 용선계약 (Voyage Charter) 항해 용선계약은 한 항구에서 다른 항구까지 편도 항해를 기준 단위로 하여 만재 화물이나 부분화물을 운송하기 위해 선주가 선복의 일부 또는 전부를 빌려주는 계약. 예상 항해기 간과 화물 수량, 선복에 따라 항해 용선계약 운임이 결정된다. 선주는 모든 운항의 비용(선원인건비, 감가상각비, 연료비, 하역비, 수수료, 보험료.. 더보기

반응형